본문 바로가기
  • 原州 聲援 趙 博士
  • 原州 趙 博士
原州 趙 博士의 日常

絶長補短

by 原州聲援 趙 博士 2025. 5. 21.

절장보단絶長補短

끊을 절,  긴 장,  도울 보,  짧을 단.

긴 것을 잘라서 짧은 것에 보태어 부족함을 채운다는 뜻,

좋은 것으로 부족한 것을 보충함을 이르는 말이다.

장점이나 넉넉한 것으로 단점이나 부족한 것을 補充보충함. 과 통함. 

마땅치 않은 집터
신전神殿, 불후佛後, 고악古嶽, 싸움터, 제구祭坵, 대장간, 방앗간, 기름방, 오래된 무덤,

떨어진 바위의 벼랑, 동망童罔, 물골이 합치는 곳, 교통이 번잡한 곳, 큰 길가, 절터, 서낭터

등에는 집터 잡는 일을 피해야 한다. 또

큰 고을의 성문城門앞이나 옥문獄門의 맞은편, 활터에서 과녁이 있는 부근,

흐르는 물결을 바라다보는 자리, 하수구가 모이는 곳, 초목이 나지 않는 자리,

허물어진 절터의 탑 부근, 무덤 근처,

사당에 이웃한 자리, 제방 아래의 자리도 마땅히 피하여야 한다.
집터의 
집터의 좋고 나쁨을 지기志氣로 살피려면, 먼저 정한 집터, 지표의 부식토를 걷어내고 생 땅을

평정하게 고른 뒤에 한 변이 1.2척 되는 정방형을 설정하고 파내되 깊이도 역시 1.2척으로 한다.

파낸 흙은 잘 부셔서 덩어리 없게 하고, 파낸 구덩이에 다시 메운다.

다지지 않은 채 두었다가 이튿날 아침에 살펴본다.

메운 흙이 푹 꺼져 있으면 좋지 못한 터이고,

만일 그것이 불쑥 솟아 있으면 좋은 터전이라 판단할 수 있다.
물로써 살피는 방법
물은 명당수와 함께 점치되 법을 얻은 것은 길하고 그렇지 못하면 나쁘다.

대체로 물은 양양洋洋함을 좋아하며,

유유하여 머물되 가득 찬 연후에야 흘러내림이 마땅하니,

첩첩한 논의 물이 해조海潮에 따라 머물고 흐르며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을 만큼

조당朝堂에 합당하고,

또 흘러내리는 물이 이윽히 계속되면 최귀격最貴格이라 한다.

만약에 늪에 물이 차서 넘치며, 물줄기에서 옆으로 새거나 터져 물길이 생기거나

물이 빠르게 흘려 내리고

맡거나 땅으로 스며들며 말랐다 젖었다 반복되면 모두 흉하다.

또 흐르는 물소리가 명랑하면 길하나 처연하여 소름끼치면 불길하다.
수구水口
수구는 주밀함을 숭상하고 물이 고이며 얼른 흘러내리지 않음은 수구에 둥근 둔덕들이 있기 때문인데,

이들을 나성羅星이라 부른다.

흙은 돌과 같지 않아서 물길이 닿으면 나성들은 씻기고 깎여서 그 모양이 여러 가지로 형성되는데,

그 중에 기사괴석奇砂怪石이 새 같기도 하고 짐승 같기도 하여 그 머리가 물을 거슬러 오를 듯이

역지상향逆之上向하고 꼬리가 흐르는 물에 잠긴 듯이 형용되면 대길할 징조이다.

또 나성들이 수구를 바라다보면 좋고, 반대로 집이 있는 쪽을 보면 불길하다.

수구가 집과 가까우면 해롭고 떨어져 있으면 무방하다.
물길 중에 사주砂洲, 모래 섬가 있어 수상류首上流에 거슬릴 때 주, 섬가 하나이면

거당巨當하고, 주가 셋이면 더욱 좋으며, 주가 수구를 내려다보는 모양이면 가장 길하나,

그 주가 만약 낮으면 길하지 못하다.
응사應砂
집터 좌우와 앞쪽에 모래언덕砂丘이 있어 그 끝이 둥글고 아름다우면 자제子弟들이 과거에

급제할 징조이고, 그 형용이 탁필卓筆같이 보이면 문귀文貴할 것이며,

퇴갑둔군한 모습이면 무귀武貴하게 된다.

반대로 언덕 끝이 급경사이면 도적이 일고, 고탁孤擢한즉 스님이 배출될 상이며, 조화燥火한 듯이

느껴짐은 온역瘟疫과 화재火災가 일어날 조짐이다.

그것이 소탕掃蕩하면 쟁송爭訟할 암시이고, 사태가 나거나 해서 천망 한다면 작적作賊하여

병사兵死하게 된다.

이들의 방향은 모두 목성윤도木星輪圖에 의하여 추상推詳된다
집터 앞에 다리를 놓거나 탑塔婆을 세우며 서낭城隍을 쌓는 일은 모두 방위를 보게 마련이니

조심하여야지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
바람 부는 방향을 살핌
북쪽에서 부는 바람이 사입射入하면 자손이 낙수落水하고, 서북풍은 남녀의 음욕淫慾이고,

동북풍은 투군投軍하여 낙진落陣하고, 요풍凹風이 있어 취사吹射한즉 기산氣散하고,

바람이 좌입左入한즉 장방長房이 흠하고, 우입右入한즉 소방小房이 흠하니 이들은 모두 피하여야 한다.

소만小滿 5월 21일경: 만물이 성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 모내기 시작.

小滿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로, 의미는 만물萬物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며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收穫을 하기 시작한다.

初候 씀바귀 이삭이 팬다 苦菜秀 고채수

中候 냉이 잎이 마른다 靡草死 미초사

末候 보리가 익는다 麥秋至 맥추지

'原州 趙 博士의 日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釜中之魚  (6) 2025.07.06
羊頭狗肉  (0) 2025.05.31
方寸已亂  (3) 2025.05.03
幸福행복한 老後노후를 위한 좋은 習慣습관  (0) 2025.04.14
生覺의 窓 뿌린 대로 거둔다.  (0) 2025.03.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