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정성스레 준비한 설 차례茶禮상을 차리며.
차례茶禮 지내는 절차는 제사보다 간략합니다.
1.진설 상차리기.
제사상에 음식을 차린다. 지방 혹은 사진을 모신다.
2.강신 조상님 모시기.
조상님께서 오시기를 청하는 절차이다.
모든 참석자는 제사상 앞에 선다.
제사상 앞 중앙 향로 앞에 꿇어 앉아 향 3개을 피워 향로에 꽂은 후 제주만 두 번 절한다.
제주가 다시 꿇어앉고 다른 사람이 술잔을 제주에게 술을 조금 30% 정도 따라주면
향 위를 거쳐 퇴주그릇에 조금씩 세 번 기울여 다 붓고 제주만 두 번 절한다.
3.참신 조상님이 오셨으므로
조상님께 인사드리기. 참석자 전원이 절한다
4.진찬.
따뜻한 음식인 메. 갱 국. 고기 생선 국수 등을 올리는 절차.
5.초헌 첫 잔 올리기.
제주는 두 번 절한후 물러난다.
6.독축 축문읽기.
참석자 일동 꿇어앉고 집사등 축관이나 제주가 축문을 읽는다.
다읽고 나면 제주는 두 번 절한다.
7.아헌 두 번째잔 올리기. 두 번째 술잔을 올리기.
8.종헌 세 번째잔 올리기.
9.삽시 정저 숟가락, 젓가락 놓기. 메밥그릇 뚜껑을 열어 메밥그릇 옆에 상 바닥에 내려놓는다.
숟가락을 메밥 가운데에 꽂는다.
젓가락을 세워 상 바닥에 똑똑똑 세 번 가지런히 한 후 젓가락 끝 가는 쪽이 사람이 봐서
오른쪽을 향하도록 하여 고기 생선등 음식위에 올려 놓는다.
10.첨작 술 더드리기. 조금 더 드시기를 청하는 절차이다.
11.합문 :
조시상님께서 음식을 드시도록 제사상 앞에서 몇 분 정도 조용히 묵념하고 기다린다.
13.헌다 숭늉올리기. 갱 국을 내리고 그 자리에 숭늉을 올린다.
메밥을 조금씩 세 번 떠서 숭늉에 말아 놓고 숟가락도 그대로 숭늉 그릇에 담가 놓는다.
참석자 모두 잠시 고개를 숙이고 기다린다.
수저 젓가락을 거두어 시저 접시에 놓는다.
메밥 그릇을 덮는다.
조상님께 환송 인사드리기 끝 마쳤으므로 안녕히 가시라고 인사하는 절차이다.
음복 식사.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온 가족이 모여 식사을 하며 친척 및 이웃 어른에게 대접한다.
조율시이 :
왼쪽부터 대추.밤.감.배 순서
홍동백서紅東白西, 조동율서 棗東栗西. 붉은과일 대추, 흰색 밤 은왼쪽에서
보통 조율시이 혹은 홍동백서 중에서 한 가지 방법으로 함
서포동혜 左脯右醯 좌포우혜.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동두서미 東頭西尾. 고기, 생선의 머리는 오른쪽, 꼬리는 왼쪽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오른쪽, 육고기는 왼쪽 생선은 조기外 민어 도미등을 한마리씩 담아 올리기도 한다
생선의 배는 지방 사진, 등은 사람쪽 포는 한두가지만 북어, 오징어,문어,육포중에서
계적. 원래는 닭의 머리가 있는 것
시저 匙箸. 수저 젓가락은 두 신위의 사이 중앙 에 놓는다.
서면동병 左 右餠. 면 국수은 왼쪽편 떡은 오른쪽
반서갱동飯西羹東. 메 밥은 왼쪽, 갱 국은 오른쪽
숙채 熟菜. 나물익혀서 만드는 나물
침채 沈菜. 물김치, 나박김치
삼색나물. 푸른색: 시금치, 고사리, 고비나물. 흰색: 도라지, 무나물, 숙주나물
식솔. 식구 食口 한집에 거주하며
함께식사를 하며 사는 관계에 있는 사람을 일컫는다.
가족 家族 부부를 중핵으로 그 근친인 혈연자가 주거를 같이하는 생활공동체
타출자他出者도 가족원으로서의 의식적인 연대가 있는 한 포함되며,
이 점에 있어서 현실적인 주거 및 가계 家計의 공동을 조건으로 하는
가구 家口 의 개념과 구별된다.
가족의 유어 類語로서의 집 집안 이 계보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집합체인 데
대하여 가족 은 현실적인 집단개념이다.
집 이라는 개념에는 가족구성원, 가족원이 생활하는 거주지. 건물, 생활공동체로서의 가족,
그 이외에 가족의 범위를 초월하여 동족 친척까지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가족을 부부 중심으로 그 자녀에만 한정하는 핵가족적 개념 규정은
한국이나 중국 인도 등의 대가족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합당하지 않지만, 아무튼 가족이란
인류의 가장 기초적인 집단이며, 인간 형성의 최초 규정자 規定者 이기 때문에
여러 학자들은 가족을 제1의적 집단. 제1차적 집단의 첫머리에 꼽는다
가문 家門 좁은 범위의 부계 혈연집단 父系血緣集團 넓은 범위의 부계 혈연집단을 흔히
종중 宗中이라 하는데, 이 종중에서 다시 갈라진 좁은 범위의 부계 혈연집단을
문중門中이라 한다.
이 문중에서도 가장 좁은 범위의 것은 같은 고조 高祖의 자손으로 구성되는 유복친 有服親인데
그 구성원의 촌수는 동고조팔촌 同高祖八寸이라는 말도 있듯이
가장 멀어도 8촌을 넘지 않는다.
유복친이란 문중의 한 사람이 죽었을 경우,
그 나머지 사람들이 모두 상복 喪服을 입는 경우를 말한다.
또 대체로 유복친 집단을 가리키는 말이나 그보다 넓은 범위의
혈족집단인 문중을 의미하기도 한다.
조선시대의 선비들은 가문을 몹시 중요시하였다.
그 때문에 전란이 일어났을 때 공교롭게도 부모상 父母喪을 당한 장군이 출진 出陣하였을
경우 그 충성심을 가상히 여길지는 몰라도 불효자로 배척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뿐만 아니라 늙은 부모를 모셨을 경우 싸움터에 나가기 싫거나
또는 외직外職에 나가기 싫을 때에는 부모 핑계를 대고 나라의 요구에
불응하더라도 벌을 받지 않았다.
이와 같은 가문중시 사상이 당파싸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자기 가문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서는 다른 가문의 파멸을 서슴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위정당국자들이 가문싸움으로 국력의 쇠약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 가문 문중에는 제사를 주장하는 종손 宗孫과 가문을 대표하는 문장門長이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종손은 운명적으로 정해지는 것이지만,
문장은 나이 많고 학덕이 뛰어난 사람이 선출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대체로는 학덕보다는 나이 많은 사람이 문장이 되는 경우가 더 많다.
종손 ·문장은 종신직終身職의 성격을 띠며, 문중에는 문장의 감독하에 문중 일을
실제로 처리하는 유사 有司가 있다.
또한 문중재산을 관리 처분할 필요가 있을 때 보통 1년 1회는 문중의 전구성원이
참여하는 종회 宗會에서 처리한다.
문장이 회의의 의장이 되며, 회의 참석자격은 일반적으로 성년 남자이고, 의안 議案의 결정은
종다수 從多數에 의할 것이나, 실제로는 문장이나 문중의 연장자의 의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상례이다.
문중제례 門中祭禮의 재원 財源은 전답 田畓 임야 등인데,
이것을 위토 位土라 한다.
위토에서의 수입은 조상의 제사, 묘지 墓地의 수축, 석물 石物 즉 비석 ·상석床石 등의 건립,
족보의 간행 등에 사용될 뿐 자손들의 생계 보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가장 家長 가족을 통솔하고 대표하는 사람. 가부장제도에서는 가장권 家長權에 의하여
가산 家産 관리, 가족 통솔, 가사 운영의 책임을 지고, 밖으로는 가족을 대표하였다.
가장의 권한이 강대하였던 예로는 헤브라이나 고대 로마를 들 수 있고,
한국도 대가족 제도에서 가장은 일상생활에서 다른 가족 성원을 지배 통솔하는
우월한 지위에 있었으나 핵가족화한 지금은 그 의미가 극히 축소되었다.
가장이란 법령상의 용어가 아닌 사회 관습상의 용어에 불과하며, 민법이나 주민등록법 등의
현행 관계법률은 호주, 세대주, 친권자 또는 부 夫의 지위로 간주한다.
가풍 家風 한 집안에 전해 내려오는 생활 관습.
그 집안의 특유한 분위기로서 감지되며, 생활양식이나 생활태도로서 나타난다.
가부장제 가족제도 아래에서 가풍의 계승이 중시될 때, 가풍은 단순한 생활 관습에 그치지 않고
가족의 생활을 규율하는 규범이 되며, 윤리적인 법도 法度를 형성한다.
상층계급에서는 이런 의미의 가풍을 중시하였으나, 가정생활을 가족 구성원의 공동생활의
장소로 보는 경향이 짙어짐에 따라 속박적인 가풍은 차차 없어지고 있다.
문중 門中성 姓과 본 本이 같은 가까운 집안 종중 宗中과 같은 뜻으로도 사용되나
엄격히 구별하면 문중은 일족 一族의 한 지파支派로 소종중 小宗中을 가리킨다.
즉, 통제通祭 4대 代의 관습에 따라 일반서민의 제사祭祀 최고한 最高限인
고조 高祖를 공동시조 共同始祖로 하는 친척간을 말한다.
보학 譜學 여러 가문 家門의 보계 譜系:系圖에 관한 학문.
한국의 보학은 송 ·원대에 그곳의 족보를 모방하기 시작한 것이 효시로 보이며
연려실기술 燃藜室記述 별집에 의하면 1562년 명종17에 간행된 문화류보 文化柳譜
가 최초라 하였으나 이보다 앞선 고려시대에도 거가귀족 巨家貴族 사이에는 계보를
기록보존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씨족 ·벌족별로 많은 족보가 만들어졌으며 이들 족보 전반에 걸친 계보서로
청구씨보靑丘氏譜 잠영보簪纓譜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 조선씨족통보 朝鮮氏族統譜 등이 있으며,
또 국가 ·사회의 현달 顯達 귀현 貴賢의 세계 世系를 명백히 하려고 한 보서 譜書로
문보 文譜 삼반십세보 三班十世譜 진신오세보 縉紳五世譜 호보號譜 등이 있다.
구족 九族 9대 代에 걸친 친족 親族.
때로는 방계 傍系 도 포함하여 고조의 4대손이 되는 형제·종 從 형제·재종형제 삼종형제까지를
나타내거나, 부계 사친족 四親族 모계 삼친족·처족 이친족을 총칭하기도 한다.
불교에서는 한 사람이 불문佛門에 들어가면 그 공덕으로
구족이 천상으로 전생 轉生한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본인을 중심으로 하여 9대에 걸친 직계直系친족을 말한다.
즉, 고조부모 高祖父母 증조부모 曾祖父母 조부모·부모·본인·아들·손자·증손·
현손 玄孫의 9대에 걸친 친족이다.
본인을 중심으로 위로 4대조 고조부모 까지, 아래로 4세손 현손 까지의 아홉대를 이르는 말인데
옛날에 역적이나 반역자에게 9대를 멸하는 형벌을 내리기도 하였다.
유복친 有服親 유복지친 有服之親의 준말로서 복 服을 입는 가까운 친척.
본종 本宗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하여, 위로 고조 高祖부터 밑으로 고손 高孫에 이르기까지
직계 및 방계의 친족, 즉 촌수로 따져서 8촌까지와 외가·처가·이종·고종 등을 말하며
부계 父系 로 사친족 四親族,모계로 삼친족 三親族, 처족 妻族이친족 二親族의
가까운 인척을 뜻한다.
동고조팔촌 同高祖八寸 한 고조 高祖 의 자손으로 그 구성원중 같은 항렬의
형제벌 촌수의 관계 4촌,6촌,8촌형제
문중에서도 가장 좁은 범위의 것은 같은 고조 高祖의 자손으로 구성되는
유복친 有服親인데 그 구성원은 한 고조부모 이하의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형제, 삼촌 ,사촌, 5촌당숙, 6촌형제, 7촌재당숙, 8촌형제 를 통털어 이르는 말인데.
옛날에는 한집에서 4대,즉 8촌형제가 함께살기도 하였다.
지난해 보내주신 관심과 은혜에 감사드리며
희망찬 새해를 맞이하여
가내에 늘 평안과 만복이 깃드시기를 기원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복된 날이 되시기를 빌겠습니다.原州聲援 趙 博士
지난 한 해 베풀어주신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희망찬 새해를 맞이하여
가내 두루 평안하시고, 만복이 깃드시길 기원합니다.
'原州 趙 博士의 평범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問曲直 (0) | 2023.01.26 |
---|---|
四面春風 (1) | 2023.01.23 |
自求多福 (1) | 2023.01.21 |
趙 博士 의 進甲 날 (0) | 2023.01.19 |
木人石心 (1) | 2023.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