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原州 聲援 趙 博士
  • 原州 趙 博士
原州 趙 博士의 일상日常

無所不爲

by 原州聲援 趙 博士 2023. 6. 17.

건설36년 原州聲援 趙 博士의 建築施工 노하우knowhow

무소불위無所不爲

 없을무.  바소.  아니불.  할위.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는 힘이나 권력, 행동 등을 나타내는 표현.

더불어 대단히 뛰어난 능력을 가리킨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럴 때는 쓰지 않고, 권력이나 힘을 마구 휘두를 때 쓰는 부정적 표현입니다.

그래서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 이라고 하면 독재자가 휘두르는 권력을 가리킵니다.

 

기초란

건물의 모든 하중을 받아서 안전하게 지반 땅의 표면에 전달하는

건축물.하부의 지중 땅을 뚫고 들어갔을 때의 그 속 구조부입니다.

기초는 기둥, 벽체의 고정하중이나 적재하중 등의 외력을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때문에 하중으로 인한 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기초의 하중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견고한 지반에 설치해야 합니다.

건축 구조 가운데 맨 아래층의 주각 기둥의 맨 밑부분 레벨을 경계로 하여

그것보다 위를 상부구조 superstructure, 그것보다 밑의 부분을

기초foundation 혹은 기초구조foundation structure 라 합니다.

기초를 구성하는 요소들

기초는 일반적으로 기초판 기초슬래브. 지정의 윗부분 과.

지정 지반이 연약하여 건물의 하중을 견디지 못할 경우 기초를 보강하거나

지반의 지지력을 증가 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나뉩니다.

기초슬래브 foundation slab 란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반 또는 말뚝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맨 아래층의 주각 밑에 설치된 구조부분입니다.

푸팅 footing이란 기둥 또는 벽의 힘을 지중에 전달하기 위하여

기초가 펼쳐진 부분입니다.

기초판, 기초슬래브, 푸팅 이 세가지는 의미는 비슷하지만 혼용되어 쓰이고 있습니다.

하중 전달방식에 따른 분류

기초의 하중 전달방식에는 직접기초와 말뚝기초 두가지가 있습니다.

직접기초 spread foundation 는 기초 슬래브로부터 하중을 직접 지반으로

전달하는 방식의 기초를 말합니다.

말뚝기초 pile foundation는 말뚝을 개입시켜 지반으로 전달하는 방식의 기초를 말합니다.

기초슬래브 밑에 레벨링 콘크리트leveling concrete나 깔개 자갈, 쪼갠 돌 등이

설치될 때도 있으나, 이들은 시공을 위한 것이지 구조체는 아닙니다.

직접기초를 얕은기초shallow foundation,

말뚝기초를 깊은기초deep foundation라 하여 분류하는 경우도 있으나

얕다, 깊다의 구별은 대지의 상황마다 다르기 때문에 명확하지 않습니다.

기초판 기초슬래브 의 형식에 따른 분류

독립기초란 단일 기둥을 받치는 기초입니다.

기둥사이 거리가 멀고, 지내력이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 적용합니다.

정방향 또는 장방형을 띄고 있습니다.

기초라는 뜻의 footing에서 F를 따와 F1, F2, F3 등으로 표기합니다.

직접기초 spread footing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을 말뚝 등을 박지 않고

기초판으로 직접 지반에 전달하는 기초

계단식 확대기초 stepped footing

테이퍼 기초 tapered footing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가늘어지는

부재의 단면이 변하는 기초

말뚝기초 pile cap 기초의 밑면에 접하는 토층이 적당한 지내력을 갖지 못하여

푸팅이나 전면기초와 같은 직접기초로 할 수 없거나 공사비 계산의 결과

다른 공법보다 말뚝으로 지지하는 것이 경제적일때 사용합니다.

줄기초

줄기초는 기둥사이 거리가 가까운 여러개의 기둥을 하나의 줄기초 위에 놓거나

내력벽 또는 조적벽을 지지하는 기초입니다.

Wall Footing을 줄여서 WF1WF2WF3 등으로 표기합니다.

좁고 길게 연달아 도랑 줄, 띠 모양으로 땅을 파고 잡석을 다짐하여 시공합니다.

기후에 따라 땅이 얼었다 녹았다 반복하면서 건축물의 기초가 움직여

침하, 균열 등의 문제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을 지을때는

기초의 깊이를 지하 동결선 아래로 해야하는데,

줄기초는 이 작업이 매우 용이합니다.

그러나 공정이 많고 복잡하며 인력소모가 커서 매트기초보다

공사기간이 길고 비용도 더 많이 듭니다.

매트기초란 건물하부 전체를 받치는 기초입니다.

Mat Footing 을 줄여서 MF1MF2MF3 등으로 표기합니다.

지반의 지내력이 작아서 독립기초로 할 경우 기초저면적이 커질때 사용합니다.

공사과정이 단순하여 공사기간이 짧고 비용이 적게 드는 것이 장점입니다.

건물 바닥면 전체 모양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부동침하 기초지반이 내려앉아 구조물의 여러 부분이 불균등하게 침하하는

현상에는 유리한 반면, 지하 동결선을 지키고자 깊게 팔수록 소모되는

자재 양이 늘어나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매트기초

토지 매매 시 경계측량 안 했을 때 문제와 대책

토지 경계 문제로 분쟁이 끊이지 않습니다
과거에 주택이나 건물이 지어져 있었거나
도로, 배수로 등이 시설물이 설치된 경우 문제 발생 빈도가 훨씬 높아요
토지 경계 분쟁은
살아가면서 한 번쯤 경험을 해보았을 겁니다
아니면 가까운 사람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았거나...
그만큼 흔하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런 여러 사유로 토지 경계측량을 하는 게 좋은데요
특히 토지를 구입하는 경우는 꼭 한 번쯤 집어 보아야 합니다
토지매매 시
경계복원측량, 즉 경계측량을 하지 않았을 때는 어떤 문제가 있고
대책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경계측량을 하지 안 했을 때 예상되는 문제
인접한 건축물, 공작물의 경계를 침범해 있거나 침범을 당한 경우 발생
면적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지적공부상 면적과 실제 면적의 차이
기반 시설 등의 위치가 상이함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도로, 배수로 등이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이나 실체 측량을 해 보면
타인의 경계를 침범하여 설치된 경우 등이 발생
토지 매매 시 매수자의 목적 달성이 어려울 경우 등
경계측량 안 했을 때 대책
토지 매매 계약 체결 시 책임관계를 확실하게 기재한다
인접한 건물 등에 경계가 침범 되었을 때 처리 방법
면적 증감 발생 시 비용 정산 문제
기반 시설 위치가 상이하여 발생하는 문제 처리
경계 문제로 토지 매수자 목적 달성이 어려울 때 대책 등
토지 경계가 불분명한 때나 인접 건축물등의 침범이 우려되는 토지를

계약할때는 매매계약 특약사항에 경계측량 실시,

안해서 발생되는 문제와 대책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하여야 합니다
향후 분쟁이 발생하면 남는것은 계약서 밖에 없거든요.

현실에  있어서는 토지매매 시 경계측량을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특히 주변에 건축물이나 공작물 등이 없거나 최근에 새롭게 개발된 지역
이미 경계측량을 하여 경계목이 설치된 곳
지장물 없는 농경지 등은 위성지도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경계를 확인할 수 있고
경계가 불명확하여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과거부터 자연적인 마을이 형성되었던 곳으로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건축물과 도로 등이 경계를 침범하였다고 의심되거나
도로나 배수관로 등 중요한 기반 시설의 위치가 불명확할 때와
위성지도상 개략적으로 확인해도 문제가 되어 보이는 곳은
반드시 확인하고 가는 게 좋습니다

토지  매매계약 시 일단 계약은 체결하고 잔금 지급전까지 경계측량을 실시하여

문제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게  최선이겠지요.

노동이 인격을 만든다.

성실하게 있는 힘껏 일하는 행위야말로
훌륭한 인간을 만드는 유일한 비결이다.
고생스러운 경험을 피하면서 훌륭한 인격을 완성하는 사람은 없다.

내가 하는 일은  스스로를 단련하고, 마음을 갈고 닦으며,
삶의 가치를 발견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행위 입니다.
일이 곧 인생입니다.

일을 즐기는 사람이 인생을 즐기는 사람입니다.
위대한 업적을 달성하는 사람은 자신의 일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입니다.

'原州 趙 博士의 일상日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十六計走爲上策  (5) 2023.07.12
目不識丁  (5) 2023.06.19
主客顚倒  (2) 2023.05.26
舌斬身刀  (1) 2023.05.24
孤掌難鳴  (2) 2023.05.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