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原州 聲援 趙 博士
  • 原州 趙 博士
原州 趙 博士의 평범한 일상日常

긍정肯定의 삶

by 原州聲援 趙 博士 2025. 5. 11.

긍정肯定의 삶
피그말리온 효과 Pygmalion effect 는 ‘긍정肯定의 기대 企待대로

행동行動하게 된다 는 의미이다.
즉, 사람이 긍정적肯定的인 기대 企待를 받으면 그에 부응副應하는 쪽으로 노력하며

긍정적 肯定的 결과結果 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는 의미도 담고 있는 사례 事例을 찾아보았다.
덕담 德談은 돈보다 더 귀 하다.

산달래 A. grayi

학명 Allium monanthum Maxim.
이명 쇠달래, 애기달래, 영명 Uniflower Onion 원산지 한국 꽃말.
분류 외떡잎식물강 아스파라거스목 부추과 부추속 분포 아시아. 서식. 산, 들

크기. 약 20cm~30cm
생약명. 해백,해엽,
다년생초본
전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알뿌리식물이고, 높이 20-30cm이며,

비늘줄기는 넓은 난형이며 흰색이고 길이 6-10mm이며 외피가 두껍고 파상으로

꾸불꾸불해지는 횡세포로 되며 2-6개의 새끼 자구를 형성한다.

일본, 중국, 몽골 등 동북아시아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불면증과 빈혈에 좋은 달래
달래는 봄철에 입맛을 돋우어 주는 들나물로 된장찌개에 넣거나 초장에 무쳐서

먹으면 별미가 된다.

옛날부터 정신을 안정시키고 잠을 잘 오게 하며 정력을 좋게 하는 식품으로 이름이 나 있다.

또 가래를 삭이고 염증을 삭이며 소화를 잘 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달래는 마늘이나 파, 양파와 성질이 비슷하다.

본초습유라는 책에는 달래는 뱃속의 덩어리를 낫게 한다고 적혔고

동의보감 에는 달래를 소산 小蒜 이라 하여 이렇게 씌여있다.
성질이 따뜻하고 뜨겁다고도 한다.

맛이 맵다. 비와 신으로 들어간다.

속을 덥히며 음식이 소화되게 하고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멎게 하고 고독을 치료한다.

뱀이나 벌레한테 물린 데도 짓찧어 붙인다.

달래의 효능 풍부한 비타민, 단백질, 칼슘. 불면증,수족냉증. 노화방지, 피부미용 효과
면역력향상,빈혈치료. 월경불순등. 여성질환 효과 동맥경화 예방, 정력증진.

콜레스트롤 수치를 낮춤 효과

봄철 제맛은 달래
봄철이 오면 나른해지고 입맛도 없고 춘곤증이 도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런 경우 달래나 두릅등. 봄철 밥상은 상큼한 봄기운을 더해 가며 맛과 영양까지 챙길 수 있어

일석이조라고 할 수가 있겠죠.
달래는 백합과에 속하며 여름철에 배탈이 났을 경우나 또는 종기에 물렸을 경우에 쓰여 졌다고 합니다.

겨울을 견뎌 내기 위한 달래는 모든 성질을 뿌리에 담고 있어서 봄철에 달래를 섭취한다 는것은

건강에 매우 좋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예부터 달래는 정신을 안정시켜 주고 숙면을 취하게 해주며 정력을 좋다고 하는

식품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달래는 비타민 C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성 채소이기 때문에 빈혈이나 동맥경화

그리고 불면증, 위염, 장염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봄철 입맛을 돋구기 위해 막 된장을 풀어서 찌개를 끓여 드셔도 좋고 초장에 무쳐 드신다거나

깨끗하게 잘 다듬어서 김에 싸 먹어도 별미로서 매우 좋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비타민, 칼슘, 단백질 풍부한 야생나물 중의 하나입니다
불면증이나 수족 냉증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피부미용에도 좋치만 노화를 방지함에 있어서 효과가 있고. 면역력을 향상 시키는데 좋으며

빈혈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따뜻한 성분이 강한 달래는 열이 좀 많은 사람에게 부작용이 나타날 수 도 있다고 합니다.

조금 길쭉한 비늘줄기를 지니고 있으며 수염뿌리가 이 비늘줄기에서 나온다.

키는 20~30㎝ 정도이다.

잎은 길이가 10~20㎝ 정도이고 비늘줄기에서 1~2장이 나오는데 긴 끈처럼 생겼다.

꽃은 하얀색이며 4월에 잎 사이에서 긴 꽃대가 나와 1송이씩 핀다.

열매는 둥그런 삭과蒴果로 익는다.

비늘줄기를 먹는다. 산달래 A. grayi 는 달래와 비슷하나 꽃이 연한 자주색이고 5~6월에

산형 傘形꽃차례를 이루어 무리져 피며, 잎의 길이가 60㎝ 정도라는 점이 다르다.

산달래의 어린잎과 비늘줄기를 캐서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야산野蒜이라고 하며 건위·정장·화상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특징
비늘줄기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 6-10㎜로서 외피가 두꺼우며 밑에는 수염뿌리가 있다.

잎은 1-2개이며 길이 10-20cm, 나비 3-8㎜의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9-13맥이 있다.

꽃은 4월에 잎 사이에서 잎보다 짧은 1개의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1-2개가 달리는데,

길이는 4-5㎜로서 백색이거나 붉은빛이 돌고 막질이며 난형의 포가 있다.

꽃잎은 6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같은 수의 수술보다 길거나 같고,

암술머리른 3개로 갈라진다.

달래의 효능.
달래의 효능. 달래는 지혈, 지사, 목통, 적백리 이질의 일종등에 효능이 있다.
달래의 식용
달래는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이 골고루 들어있는 우수식품이며, 달래의 독특한 향기가

식욕을 돋우고, 소화액 분비를 촉진한다.

달래의 뿌리와 꽃에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달래나물, 국, 생무침, 겨자무침 등에 이용,

또한 건강주를 담거나, 녹즙으로도 이용된다.
달래의 약용
달래를 민간에서는 전초를 달여 위궤양, 치질, 폐결핵에, 혈압강하, 동맥경화, 당뇨병, 이질,

지사제, 건위소화제, 빈혈, 강장, 지혈작용, 월경통, 자궁출혈등 지혈에 이용.

특히 간기능을 강화하는 해독작용, 달래의 꽃은 이질, 자궁출혈에 이용하며

냉이꽃과 씨는 살충작용이 있어 옷장등에 넣는다.

달래의 복용방법

정력증진 인경과 수염뿌리 200g을 함께 물에 씻어 소주에 담근 다음 15일쯤 지난 후 조금씩 마신다.

식도암, 자궁출혈, 월경불통 : 생뿌리를 먹거나 태워서 먹는다.

문헌에서 말하는 달래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달래
산에서 나며, 뿌리와 잎이 마늘과 같으나 가늘고 작으며, 냄새가 몹시 난다.

달래는 약 기운이 비와 신으로 들어가는 약재로 속을 데우고, 음식의 소화를 돕고,

토사곽란과 고독 독충 따위의 독 또는 그 독이 든 음식물을 먹고 생긴 병을 치료한다.

또 뱀이나 벌레에게 물린데에도 붙인다.
한방에서 전하는 달래의 효능?
본초습유 에는 달래는 적괴를 다스리고 부인의 혈괴를 다스린다 고 전합니다.

적괴는 암이나 종양 등을 뜻하며, 혈괴는 부인과 계통의 암, 종양 등을 말하는 것으로

달래는 암 예방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동의보감 에는 달래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맵다. 비와 신으로 들어간다.

속을 덥히며 음식이 소화되게 하고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멎게 하며 독을 치료한다.

뱀이나 벌레한테 물린 데도 짓찧어 붙인다 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달래는 성질이 따뜻하고 매운 맛이 있어 한방에서는 보혈약재로 사용됩니다.
달래에는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데

이 중에서 비타민 A는 몸의 저항력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합니다.
비타민 C가 풍부해 노화를 예방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칼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빈혈 및 동맥 경화 예방에 좋습니다.
달래에는 철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빈혈 예방에 좋습니다.
달래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칼슘은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작용이 뛰어나 날카로워진

신경을 안정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신경을 안정시켜 불면증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달래는 기침, 가래, 기관지염 등에 거담제로 쓰이기도 합니다.

산달래 Allium macrostemon Bunge의 꽃
부추속중 야생인 달래,산달래와 고산달래 등 약 11종의 달래류가 우리나라에 자생한다.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야산野蒜이라고 하며 건위·정장·화상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소산小蒜, 야산野蒜, 산산山蒜 등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한방에서 달래의 비늘줄기를 소산小蒜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여름철 토사곽란과 복통을 치료하고, 종기와 벌레에 물렸을 때 쓰며,

협심통에 식초를 넣고 끓여서 복용한다.
산달래 Allium macrostemon Bunge의 인경
鱗莖인경은 해백, 잎은 해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성분 : 해백에는 alliin, methyl alliin, scorodose가 함유되어 있고 항균시험에서

水煎劑수전제는 赤痢菌적리균, 용혈형포도균에 억제작용이 있다.
약효 通陽散結통양산결, 下氣行帶하기행대의 효능이 있다.

胸痺疼痛흉비동통, 痰飮脇痛담음협통 등의 증에 효과가 양호하며

乾嘔건구, 下痢하리와 裏急後重이급후중, 瘡癤창절, 風寒水腫풍한수종을 치료한다.
외용 짓찧어 붙이거나 즙을 바른다.
해엽
疥癬 개선의 치료에는 삶은 물로 씻거나,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肺氣喘急폐기천급을 치료한다.

'原州 趙 博士의 평범한 일상日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盈科後進  (0) 2025.05.17
面厚心黑  (0) 2025.05.14
伯仲之間  (2) 2025.05.09
以熱治熱  (2) 2025.05.06
一口二言  (3) 2025.04.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