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原州 聲援 趙 博士
  • 原州 趙 博士

분류 전체보기515

破器相接 破器相接 파기상접 破 깨뜨릴 파, 器 그릇 기, 相 서로 상, 接 붙일 접. 깨어진 그릇 조각을 맞춘다 라는 뜻으로 이미 틀어진 일을 다시 바로잡을 수 없음을 비유 즉, 공연히 헛수고할 때 쓰는 말. 2022. 7. 30.
不恥下問 불치하문不恥下問 不 아닐 불, 恥 부끄러울 치, 下 아래 하, 問 물을 문, 자신보다 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뜻.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결코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말. 지위地位ㆍ학식學識ㆍ나이 따위가 자기自己보다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아니함을 두고 이르는 말. 2022. 7. 26.
건설근로자 퇴직공제란 건설근로자 퇴직공제제도"란 사업주가 건설근로자를 피공제자로 하여 건설근로자 공제회에 공제부금을 내고 그 피공제자가 건설업에서 퇴직하는 등의 경우에 건설근로자 공제회가 퇴직공제금을 지급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5호 건설근로자 퇴직공제제도"란 일용 임시직 건설근로자가 퇴직공제 가입 건설현장에서 근로하면 건설사업주가 공제회로 근로일수를 신고하고 그에 맞는 공제부금을 납부하면 해당 근로자가 건설업에서 퇴직할 때 건설근로자 공제회가 퇴직공제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이란 일용. 임시직 건설근로자가 건설업에서 퇴직할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으로서, 퇴직공제 가입현장에서 근로한 일수에 따라 적립된 공제부금에 이자를 더하여 지급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퇴.. 2022. 7. 23.
原州 趙 博士 平昌江車泊 차박 原州 聲援 趙 博士 車泊차박 2022. 7. 21.
칠봉강 출사 2022. 7. 17.
烏飛梨落 오비이락 烏飛梨落 烏 까마귀 오 , 飛 날 비. 梨 배나무 이. 落 떨어질 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비슷한 시기에 일어나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궁지에 몰린 상황을 나타낸다. 오비이락은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라는 우리 속담을 한자로 표현한 말. 까마귀는 그냥 날아올랐는데 그 순간 배가 떨어져 버린다면 그것을 본 사람들은 까마귀가 배를 떨어뜨렸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우연히 동시에 일어난 일로 오해를 받게 되는 경우를 오비이락이라고 한다. 原州中央市場 중평동은 시의 중심에 위치한 동으로 평원로를 중심으로 서쪽 원일로와 중앙로변이 중앙동, 평원로에서 원주천변까지가 평원동으로 되어 있고 인동, 일산동, 학성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중앙동原州 中央洞은.. 2022. 7. 13.
勿輕小事 勿輕小事 물경소사 勿 말 물, 輕가벼울 경, 小 작을 소, 事 일 사 ​적은 일이라도 가볍게 여기지 말라는 뜻으로, 작은 일에도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는 말 원인동은 원주시청에서 남쪽으로 3km 떨어져 있으며, 동쪽으로는 원주천을 경계로 봉산2동, 개운동과 서쪽으로는 일산동과 명륜1동, 남쪽으로는 명륜2동, 북쪽으로는 중평동 및 일산동과 접해 있는 시의 중심지역이다. 원동은 상수도 제1배수지가 있는 남산이 둥근 모양을 하고 있어 둥글원 園자를 사용하여 원동으로 불렀다고 한다. 남산에는 옛날 달맞이하던 추월대 秋月臺가 있었고 일제시대엔 신사 神社 가 있었으나 지금은 그 자취를 찾을 수 없다. 인동은 조선시대 원주목사 한중겸 韓重謙의 딸이 이곳에서 태어나 후에 16대 인조 仁祖의 비 妃인 인열왕후가 되어 고장.. 2022. 7. 10.
瓜田不納履 瓜田不納履 과전불납리 瓜 오이 과. 田 밭 전. 不 아니다 불. 納 들이다 납. 履 신 리. 참외 밭에선 신발 끈을 고쳐 매지 말라. 뜻 : 남에게 쓸데없이 오해받기 쉬운 짓은 하지 말아야 함. 소서小暑 7월 7일경 小暑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 더위와 함께 장마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장마철이 시작된다. 소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므로 온갖 과일과 소채가 풍성해지고 밀과 보리도 먹게 된다. 특히, 음력 5월 단오를 전후하여 시 절식으로 즐기는 밀가루음식은 이맘 때 가장 맛이 나며, 소채류로는 호박, 생선류는 민어가 제철이다. 初候 더운 바람이 불어온 溫風始至 온풍시지 中候 귀뚜라미가 벽에서 산다 蟋蟀居壁 실솔거벽 末候 매가 비로소 새를 챈다鷹始摯 응시지 2022. 7. 7.
事必歸正 사필귀정事必歸正 事 일 사 必. 반드시 필. 歸 : 돌아갈 귀. 正 : 바를 정. 일은 반드시 바른 곳으로 돌아간다. 모든 시비是非 곡직曲直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 온다 사事 는 이 세상의 모든 일을 뜻하고, 정正 은 이 세상의 올바른 법칙을 뜻한다. 사필귀정은 좋은 일을 하면 반드시 복을 받고. 나쁜 일을 하면 반드시 벌을 받는 식의 올바른 법칙의 적용을 받게 된다는 말이다. 비슷한 고사성어로 인과응보因果應報와 종두득두種豆得豆 등이 있다. 우리속담 2022. 7. 6.
一鳴驚人 일명경인一鳴驚人 一 한 일, 鳴 새가 울 명, 驚 놀랠 경, 人 사람 인, 새가 한 번 울면 사람이 놀란다는 뜻으로, 평소에는 과묵하던 사람이 갑자기 사람을 놀라게 할 만한 일을 해내는 것을 비유하는 말. 주방에서의 편리한 생활상식 마늘을 쉽게 까는 방법 요즘 마늘이 제 철이죠 마늘 뿌리 부분을 0.5mm 자릅니다. 전자레인지에 마늘을 넣고 30초가량 돌립니다.. 꺼내서 머리만 살짝 눌러주면 마늘 알맹이가 쏘~옥 빠집니다. 이렇게 하면 마늘을 쉽게 빨리 깔 수 있을뿐더러 눈물, 콧물, 손이 짓무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답니다. 양파 쉽게 까기 양파껍질 까면서, 양파 썰면서 눈물 한번 안 흘려본 주부님들 없으시죠? 저도 양파 까면서 자주 울었습니다... 양파를 잠시 물에 담가두었다 꺼내서 살짝만 껍질을 문질러.. 2022. 7. 4.
德蕩乎名 덕탕호명德蕩乎名 德 덕 덕, 蕩 쓸어버릴 탕, 乎 어조사 호, 名 이름 명. 덕은 명예를 구하려고 하면 허물어짐. 밖으로 드러낼수록 빛나는 것은 명예, 즉 이름이고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수록 빛나는 것이 덕德이다. 남에게 내세우지 않고 어진 일을 하여 덕을 쌓으면 복이 저절로 온다. 2022. 7. 1.
衆口難防 중구난방衆口難防 衆 무리 중. 口 입 구. 難 어려울 난. 防 막을 방. 여러 사람의 입을 막기 어렵다는 뜻으로, 막기 어려울 정도程度로 여럿이 마구 지껄임을 이르는 말. 부추속 Allium의 종 가는산부추 Allium splendens Willd. ex Schult.f. 강부추 Allium longistylum Baker 갯부추 Allium pseudojaponicum Makino 돌부추 Allium koreanum H.J.Choi &B.U.Oh 두메부추 Allium senescens L. var. senescens 둥근산부추 Allium thunbergii var. teretifolium H.J.Choi &B.U.Oh 마늘 Allium scorodorpasum var. viviparum Regel 부.. 2022. 6. 28.
表裏不同 표리부동表裏不同 表 겉 표, 裏 속 리, 不 아닐 불, 同 같을 동, 겉과 속이 같지 않다는 뜻으로. 속마음과 다르게 말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앞에서 보여지는 모습과 뒤에서 하는 생각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흔히 겉은 훌륭해 보이나 속은 그렇지 못한 것, 앞에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뒤에서는 비방하고 배신하는 경우처럼 진실되지 못한것. 레미콘 루베계산방법 레미콘이란 레미콘 공장에서 제조한 콘크리트를 섞으면서 지정된 장소까지 운반하여 공급하는 콘크리트를 레디 믹스트 콘크리트라고 하며 줄여서 레미콘이라 부릅니다. 표기법 25-21-120 25 : 골재의 크기 모래+자갈, 단위mm 21 : 레미콘 강도, 단위MPA 120 : 슬럼프 콘크리트의 묽은 정도, 단위mm 레미콘 루베계산방법 가로 m ×.. 2022. 6. 27.
背恩忘德 배은망덕背恩忘德 背 배반할 배, 恩 은혜 은, 忘 잊을 망, 德 큰 덕. 남에게 입은 恩德은덕을 잊고 저버림. 베풀어 준 은혜에 보답은커녕 은혜를 원수로 갚는 것을 말한다. 배背는 앞서도 나온 바 있는 글자인데, 배신背信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2022. 6. 25.
井底之蛙 井底之蛙 정저지와 井 정 우물. 底 저 밑. 之 지 어조사. 蛙 와 개구리 우물 안 개구리. 세상 물정 모르고 소견이 좁음. 坐井觀天좌정관천 상추의 효능상추는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와 종자를 약재로 쓰는데, 식물체는 소변 출혈과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 효과가 있고, 종자는 고혈압과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지나치게 스트레스를 받거나 우울할 때 상추를 먹으면 한결 기분이 좋아지는 효과 를 얻을 수 있다. 상추잎을 꺾을 때 나오는 흰 즙에 진정작용을 하는락투세린과 락투신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치아를 희게 하고, 피를 맑게 하며,해독작용을 해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에게 좋다. 상추는 비타민 A와 비타민 B군, 철분과 칼슘, 히토신, 리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이.. 2022. 6. 24.
識者憂患 識者憂患식자우환 識 식 알다. 者 자 놈. 憂 우 근심. 患 환 근심 아는 게 병이다. 문자를 배워 학문을 하게 되면 갖가지 노고와 근심을 부르게 됨. 2022. 6. 22.
輾轉反側 전전반측輾轉反側 輾 돌아누울 전, 轉 구를 전, 反 뒤척일 반, 側 기울 측. 수레바퀴가 한없이 돌며 옆으로 뒤척인다는 뜻으로, 근심과 걱정으로 잠을 이루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생각과 고민이 많아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잠을 이루지 못해 뒤척임을 되풀이하는 것을 형용하여 '전전반측輾轉反側이라 한다. 이리 뒤척 저리 뒤척 한다는 뜻으로, 걱정거리로 마음이 괴로워 잠을 이루지 못함을 이르는 말. 하지夏至6월 21일경 夏至는 망종芒種과 소서小暑사이, 이 날은 태양이 황도상의 가장 북쪽인 하지점에 이르러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며, 하지夏至 이후에 더워지기 시작하여 삼복三伏 시기에 가장 덥게 된다. 단오를 전후하여 시작된 모심기가 하지 이전이면 모두 끝난다. 강원도지역에서는 파삭한 햇감자를 캐어 .. 2022. 6. 21.
亡羊補牢 망양보뢰亡羊補牢 亡 달아날 망, 羊 양 양, 補 기울 보, 牢 우리 뢰. 양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일을 그르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망양보뢰는 이미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쓰였다. 다시 말해 실패 또는 실수를 해도 빨리 뉘우치고 수습하면 늦지 않다는 말. 따라서 부정적인 뜻보다는 긍정적인 뜻이 강하다. 하지만 뒤로 가면서 원래의 뜻과 달리, 일을 그르친 뒤에는 뉘우쳐도 이미 소용이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바뀌었다. 전자보다는 후자의 뜻으로 쓰인다. 망우보뢰亡牛補牢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와 같은 뜻이며,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사후청심환死後淸心丸·실마치구失馬治廐·실우치구 失牛治廐. 만시지탄晩時之歎 과도 뜻이 통한다. 막내딸인 예쁜울 마누라는 신.. 2022. 6. 18.
忠言逆耳 忠言逆耳 충언역이 忠 충성 충, 言 말씀 언, 逆 거스릴 역, 耳 귀 이​ ​바른 말은 귀에 거슬린다'라는 뜻으로, 바르게 타이르는 말일수록 듣기 싫어함을 뜻하는 말. 때로는 충고나 바른 말에도 귀를 기울이라는 교훈이 담겨 있는 말. 2022. 6. 16.
口蜜腹劍 口蜜腹劍 구밀복검 口 입 구, 蜜 꿀 밀, 腹 배 복, 劍 칼 검​ ​입으로는 꿀을 바르고 있으나 뱃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라는 뜻으로, 겉으로는 꿀맛같이 친절하게 행동하지만, 마음속은 헐뜯을 생각을 하는 사람을 비유한 말. 磨斧爲針 마부위침 磨 마 갈다. 斧 부 도끼. 爲 위 하다,되다. 針 침 바늘.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뜻 : 이루기 힘든 일도 끊임없는 노력과 끈기 있는 인내면 이룰 수 있음. 2022. 6. 14.
習俗移性 習俗移性 습속이성 習 습 익히다. 俗 속 속되다. 移 이 옮기다. 性 성 성품. 선세 살 버릇 여든 간다. 뜻 : 습관과 풍속은 마침내 그 사람의 성질을 바꾸어 놓음. 2022. 6. 11.
渴而穿井 渴而穿井 갈이천정 渴 목마르다 갈. 而 말잇다 이. 穿 뚫다 천. 井 우물 정 목마른 사람이 우물 판다라는 뜻으로. 자신이 급해야 일을 시작하게 됨. 비슷한말 臨渴掘井임갈굴정 2022. 6. 7.
玉石混淆 옥석혼효玉石混淆 玉 구슬 옥, 石 돌 석, 混 섞을 혼, 淆 뒤섞일 효, 옥과 돌이 함께 뒤섞여 있다는 뜻으로, 선과 악, 좋은 것과 나쁜 것이 함께 섞여 있음 2022. 6. 1.
羊頭狗肉 양두구육羊頭狗肉羊 양 양, 頭 머리 두, 狗 개 구, 肉 고기 육,양 머리에 개고기라는 뜻으로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나 겉으로 그럴싸하게 허세를 부리는 것을 말한다.송宋나라 때 지어진 오등회원五燈會元에서 유래하는 말이다.양羊 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겉은 훌륭해 보이나 속은 그렇지 못한 것.겉과 속이 서로 다름. 2022. 5. 31.